매달 70만 원씩 입금 시 5년 후 약 5,000만 원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시작됐습니다.
신청기간
1차 가입: 6월 15일(목) ~ 6월 23일(금)
2차 가입(예정): 7월 3일(월) ~ 7월 14일(금)
가입가능일 | 6/15(목) | 6/16(금) | 6/19(월) | 6/20(화) | 6/21(수) | 6/22-23(목-금) | ||
출생연도 끝자리 |
3, 8 | 4, 9 | 0, 5 | 1, 6 | 2, 7 | 모두 가능 |
현재는 1차 가입자들을 받고 있습니다. 자신의 생일이 5월 29일이면 16일에 신청할 수 있는 거죠. 하지만 가입을 고민하다가 혹은 신청기간을 몰랐다가 내 순서가 지나갔다 해도 괜찮습니다. 6월 22-23일은 모든 분들이 신청 가능하니 그때 신청해 보세요!
금리안내
- 기본이자율 연 4.5% + 우대이자율 연 1.5% = 연 6% 금리 적용
- 3년 고정금리, 2년 변동금리
- 정부기여금에는 기본이자율 지급
- 특별 중도해지 시 기본이자율 지급
기본 이자율 4.5%에 은행에서 우대해 주는 이자율이 추가됩니다.
신한은행 기준 우대금리 조건
1. 연간 총 급여 2,400만 원 이하인 경우 +0.5%
2. 본인 명의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급여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 +0.3%
3. 본인명의 신한은행 입출금통장으로 30개월 이상 신한카드(신용/체크) 결제실적이 있는 경우 +0.3%
4. 이 상품 신규 직전 1년간 신한은행 예금, 적금, 청약이 없었던 고객 +0.4%
예를 들어 연간 총급여가 2,300만 원이고 30개월 이상 급여이체 실적이 있는 경우에는 기본 이자율에 우대이자율을 더해서 총 연간 5.3%의 이자율을 적용받을 수 있겠네요.
최대 우대금리인 6%를 받으려면 1-4번을 다 충족해야 되는데 그건 조금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.
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 구조
연간소득 | 납입한도 | 기여금 지급한도 | 기여금 한도 |
2,400만원 이하 | 월 70만원 | 월 40만원 | 월 24,000원 |
3,600만원 이하 | 월 50만원 | 월 23,000원 | |
4,800만원 이하 | 월 60만원 | 월 22,000원 | |
6,000만원 이하 | 월 70만원 | 월 21,000원 | |
7,500만원 이하 | 정부기여금 지급X, 비과세 적용O |
만약 작년 자신의 종합소득세 소득금액이 3,200만 원이라면 최소 월 50만 원씩 납입 시 23,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겠네요.
기여금 지급 한도보다 낮은 금액을 납입할 시 정부기여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.
그리고 22년 종합소득세 소득은 7월에 확정되니 1차 신청 때 21년에 소득이 없다면 2차 신청기간에 가입 가능할 것 같습니다.
★ 납입금액에 따른 수령액 ★
많은 분들이 그럼 40만 원, 50만 원 납입 시 만기 때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도 궁금하실 텐데요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.
*조건: 기여금 지급한도로 매달 납입하고 연 5% 금리를 적용받은 뒤 5년 만기(정부기여금, 비과세 혜택 적용)
연간소득 | 기여금 한도 납입+정부기여금 | 만기시 수령 금액 |
2,400만원 이하 | 월 424,000원 | 28,673,000원 |
3,600만원 이하 | 월 523,000원 | 35,367,875원 |
4,800만원 이하 | 월 622,000원 | 42,062,750원 |
6,000만원 이하 | 월 721,000원 | 48,757,625원 |
현재 금융상품 금리가 3-4%이니 대략 3.5%로 계산한다면 40만 원 납입 시 25,806,210원 정도 수령 가능합니다. (비과세적용 X)
같은 금액을 납입해도 만기수령 시 약 300만 원 정도 더 수령 가능하니 오랜 기간 적금을 하실 수 있는 분들이라면 중도해지하지 말고 만기 채워서 하면 좋겠네요.
물론 3년 고정금리 + 2년 변동금리이기 때문에 변동금리가 적용되면 수령 금액이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중도해지 시
가입 후 기여금 지급한도가 높다 보니 중도해지를 고민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사망, 퇴직, 이민, 사업장 폐업, 생애최초 주택가입 등을 비롯한 특별사유 외의 사유로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+비과세 혜택이 불가합니다.
특별사유 없이 중도해지를 하면 기본금리+우대금리만 적용되는 적금을 가입한 것과 같은 효과겠네요!
마무리
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대한 간단한 내용들을 확인해 봤습니다. 기본적인 내용들은 인터넷에 이미 많이 있으니 저는 40만 원, 50만 원 납입 시 수령 가능한 금액을 주제로 글을 써봤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셨을까요? 저도 직장인이다 보니 매달 70만 원씩 납입은 부담스러워서 50만 원 납입 시 수령 가능 금액을 찾아봤는데 관련 내용을 찾기 어렵더라고요. 오늘 제 포스트가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:-)